반응형

내일 상한가 매도운동은~~~

이제 더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미리 대응하고자 합니다.

꼭 따라주십시오~~

현재 상한가 운동은 정말 효과가 있었습니다.
공매도의 수급만 봐도 알수가 있고,

특히, 오늘은 명백하게 들어났습니다.
공매도가 더이상 버틸만한 체력이 안된다는걸~~~

따라서, 이런 상황은 우리에게 더 위험합니다.
공매도가 언제든, 거래소의 VI시스템의 약점을 파고들어~

한방에 우리의 소중한 주식을 헐값에 가져가면 절대로 안됩니다.

따라서, 안전장치를 확보할때까지~~~
변칙적으로 상한가 매도운동을 병행하려고 합니다.

일단. 공매도세력은 상한가에 의미있는 물량이 있을때만, 상한가 매수전략을
사용할수있습니다.
즉, 적어도 4-500만주 이상이 쌓여있어야 겠죠~~ㅎㅎㅎ

그래서, 내일부터는 신용을 사용하신분들만 상한가 매도운동에 계속 참여하고~

나머지분들은 ( 08 : 30분 ~ 08 : 50분 )까지 상한가 매도운동에 동참했다가~
장 시작하기 직전 ( 08 : 55분 ~ 09 : 00분 )에 곧바로 상한가 매도를 취소해 주십시오~

그럼, 완벽한 안전장치가 확보될때까지 이렇게 진행하겠습니다.
내일부터 상한가 매도운동 카운팅은 당분가 진행하지 않겠습니다.

네이버에 이 글을 옮겨주십시오!
한사람의 피해자도 나와서는 안됩니다.

그럼, 새로운 방안이 나올때까지 기다려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후크선장 올림 )

http://m.thinkpool.com/item/discuss/pdsRead.jsp?code=068270&name=stock_bbs&mcd=I0C&ctg=&slt=&key=&schIdx=0&page=1&number=10579736&i_max=00105797399999

반응형
반응형

네이처셀 : 주가조작  
알엔엘바이오 : 상장폐지  
바이오스타 : 감사 의견거절  
알바이오 : 감사 의견거절  

알엔엘바이오 상장폐지 시키고 자금 빨기 위해 재상장 시킨게 알바이오  
그런데 이것마저도 감사의견 거절  

판단은 각자 알아서 해라 
거짓말 하나 안보탰다


출처: 네이버 종토방

반응형
반응형

● 뉴욕증시, 8/1(현지시간) 애플 실적 호조에도 美/中 무역전쟁 우려 재부각 등으로 혼조 마감… 다우 -81.37(-0.32%) 25,333.82, 나스닥 +35.50(+0.46%) 7,707.29, S&P500 2,813.36(-0.10%), 필라델피아반도체 1,365.11(-0.17%)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증가 및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등으로 하락 … WTI -1.10(-1.60%) 67.66, 브렌트유 -1.82(-2.45%) 72.39

● 국제 금($,온스), FOMC 발표 앞두고 달러 강세에 하락... Gold -6.00(-0.48%) 1227.60

● 달러 index, 美/中 무역전쟁 긴장 고조 및 연준 금리 동결 등으로 상승... +0.11(+0.12%) 94.66

● 역외환율(원/달러), +1.08(+0.10%) 1119.18

● 유럽증시, 영국(-1.24%), 독일(-0.53%), 프랑스(-0.23%)

● 보름만에 2300 회복했지만... 8월 증시 기대 반, 우려 반

● FAANG 대신 MAGA(MS·애플·구글·아마존)... 기술株 '권력재편'

● 전력 수요 늘어도... 맥 못추는 한전, 누진제 완화 가능성·英원전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 '겹악재'

● 실적발표 후 희비 엇갈린 '화학株 라이벌'... LG화학 2분기 영업익 줄었지만 전기차 배터리 기대로 강세, 롯데케미칼 실적 둔화 우려로 약세

● 주주친화안 발표... 껑충 뛴 에이스침대, 주식분할 결정... 소액주주에 1.5배 차등 배당키로

● 무역분쟁 無風 인도펀드... 수익률 '씽씽'

● 마이다스에셋운용, PEF 시장 본격 진출

● 기금운용본부 '급한불 끄기 인사'

● 삼성SDI·NHN엔터... 3분기 유망株 '주목'

● 유안타證 IPO틈새 공략, 유망벤처 발굴 수익 짭짤

● 2분기 실적... 대우건설, 판매관리비 상승에 영업익 34%↓... SK네트웍스 매출 감소에도 영업익 48%증가 '선방'

● 주식시장 떠나려는 한국유리공업·아트라스BX·알보젠코리아... 잇단 자진상폐 추진, 불거지는 공개매수價 논란

● 대림산업 오너 보유 개인회사, 지분 100% 계열사에 증여

● 국내 최대 오프라인 입시학원 매물로... 사모펀드 티스톤, 타임교육 매각한다

● LGD, 그린본드 발행... 민간기업으로 퍼지는 ESG 채권

● 20일 코스닥 상장하는 바이오솔루션 "골관절염 세포치료제 연내 출시", 이정선 사장 IPO 간담회

● 2兆대어 美 슈완스 인수위해 CJ그룹, JKL파트너스 손잡았다

● 티웨이항공 첫날 보합... 반등 여력은 충분

● "반도체 위기론은 '말장난' 불과... 장기간 호황 지속될 것"

● 美 연준, 기준금리 1.75%~2% 동결... 9월 금리인상에 '강한' 신호

● 7월 수출액 519억달러... 통계작성 이래 월간 실적 2위

● 포스코, 최정우 회장 취임 후 첫 조직개편... 통합 철강부문장에 장인화

● 증시부진에 공모주 몸값 낮추기... 롯데정보통신·대유 등 동참

● 폭염 속 무·배춧값 급등에... '여름 김장' 대신 포장김치

● 111년만의 폭염... 추석물가까지 덮친다

● 보름새 배추 37%·토마토34%↑... 폭염에 신음하는 서민경제

● 서울 오늘도 39도... 주말 대구·포항 '펄펄', 폭염 언제까지 이어지나

● 폭염사망자 29명, 메르스때 넘을수도... 동남아 관광객 "韓이 더 더워"

● 지구촌 '살인 더위'... 日 143년만에 최고

● 롯데면세점이 깜짝 오픈한 '화장품 테마파크'... 입생로랑과 VIP체험행사, 단일 매장 세계 매출 1위

● "화장품 다음은 샴푸"... 中 사로잡은 헤어케어

● 렌털시장은 레드오션? 실적으로 '무한성장' 증명... 코웨이·SK매직, 2분기 또 '실적 신기록'

● 베트남, 韓의약품 입찰등급 유지... 제약업계 '수출 먹구름' 걷혔다

● LG전자, 캐나다에 인공지능 연구소 열었다

● 롯데월드타워 지속가능채권 2억弗 발행... 전세계 초고층빌딩 중 첫 발행

● 현정은 회장 4년만 방북, 내일 故정몽헌 추모식

● 이재용부회장 유럽 출장, 5G·반도체 사업 챙기기

● 개별소비세 약발에 기아車 7월 판매 7%↑

● 롯데정보통신, "카톡으로 햄버거 주문부터 결제까지"... 롯데리아·엔제리너스 매장 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 "8월엔 팔자"... 개소세 인하에 올라탄 車업계, 파격 할인 전쟁

● 미묘한 시기에... "항공사 인수 검토" 발언한 애경그룹, "LCC 포화... 매물 나오면 검토", 일각선 "진에어 겨냥" 분석도

● 셀트리온 '램시마', 2분기 美 매출 174% 증가... 오리지널 의약품 빠르게 대체

● 속도내는 脫원전... 원전 해체기금 조성한다

● 정부, 가계대출 조이자 은행들 기업잡기 '올인'

● JB '함박웃음'·BNK '흐림'... 지방 금융지주 희비

● 연말부터 슈퍼마켓서 일회용 봉투 사라진다

● 은행 QR코드 결제 나서... 40년만에 존폐 기로에 선 카드업

● 김동연 부총리 "팔 비틀기 아니다... 투자 주체는 기업, 정부는 측면지원"

● 삼성전자 뒷걸음질 치는 사이...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 40% 늘렸다

● 트럼프, 對中 관세 10%→25%로 올린다... 중국산 2000억弗 대상 검토, 中 "반드시 반격" 강력 반발

● "법 개정해 전교조 합법화, 현대차 하도급 직접 고용" 고용노동행정개혁위 권고

● 政·靑 고위 정책협의체 부활... 文 정부 '경제 투톱' 불협화음 줄어들 듯

● 유튜브, 모바일 '평정'... 사용시간 네이버 2배

● 한국-선진국 일자리 명암... 親기업정책의 '일자리 매직'... 美·日·獨 실업률 사상 최저치 행진

● 인력난 日·獨, 외국인 취업제한 완화... 노동시장 개방 확대

● 한국 '고용 역주행 정책'... 최저임금·주52시간·정규직화... 고용감소 불렀다

● 모바일 세상 유튜브 천하... 포털 검색 대신 유튜브로

● 공짜 망에 무딘 규제... '기울어진 운동장'서 유튜브 독주

● 가짜뉴스·막장방송... 유튜브선 돈이된다, 1000회당 평균 1달러 수익, 제작자 돈벌이 수단 전락

● 아프리카·판도라TV는 왜 밀려났나... 단기수익 집착, 갈등 유발... 역차별 규제로 이용자 급감

● 자영업 해법 번지수 잘못 짚은 정부... "최저임금 못견뎌 문 다는데... 정부는 임대료·수수료 갑질 탓만"

● "관세청, 북한 석탄 반입 알고도 숨겼다"... 사실일 땐 후폭풍 거셀 듯

● 통일부 "개성공단 빨리 재개돼야, 對北제재 틀 속에서 푸는게 중요"

● 진보색 짙어진 大法... 박근혜·이재용 재판 '직접 영향권'

● 법안 이름 양보하더라도... 규제혁신法 사활건 與, 규제샌드박스법 빅딜 나서

● 美, 개성공단 재가동 반대... 재개 타진한 韓과 온도차

● 이석구 기무사령관 면담한 김성태 "2004년 문건, 계엄문건과 유사"

● ARF, 北에 '완전한 비핵화' 촉구한다

● 경기둔화에 충격받은 시진핑... '부양책 종합선물세트' 쏟아낸다 구글 자율주행 택시 연내 영업 시작... 美 애리조나서 시범운영

● 무역전쟁 폭탄 맞은 美·中 소비자... 물가 급등에 신음

● 애플 '깜짝 실적'에 美기술株 한숨 돌리나... 2분기 순이익 40% 증가

● 러시아 또 페북 통해 美 중간선거 개입?

● 中, 하반기 유동성 공급 더 늘린다

● "무역전쟁은 다이어트 같은 것, 시작할 땐 고통... 끝나면 '행복'", 로스 美 상무장관 발언 화제

● 실수요 귀환?... 거래까지 실리는 서울 집값

● 고대앞 상권 '스마트'한 변신

● 서울 주택허가 '반토막'... "3~4년뒤 집값 불안"

● 한남3구역 '계획변경안' 승인... "하반기 사업시행 인가 신청"

● 여름 비수기·폭염에도... 7월 서울 거래량 다시 늘었다

● 위례과천선 노선 이달 말까지 확정

● 공시가 6억원 넘는 주택도 임대사업 등록?... 연말까지 85m² 이하 稅감면

● [오늘의 날씨] 폭염 장기화 조짐, 곳곳서 폭염 신기록 이어질듯... 서울 낮39도

반응형
반응형

공모 주식 수는 신주 150만 주다. 주당 공모희망가는 2만4000~2만9000원으로 총 360억~435억원어치다. 공모자금은 생산시설 확충과 연구개발(R&D)에 사용할 계획이다. 2~3일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9~10일 일반청약 신청을 받는다.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https://m.stock.naver.com/news/read.nhn?category=flashnews&officeId=015&articleId=0003989123

반응형
반응형

이 방법은 예전에 셀트리온이 무차별 공매도에 시달렸을때 셀트리온 주주님들께서 힘을 합쳐 대응했던 방법입니다 

■내용 
공매들이 대차 체결되어있는 주식을 빌려갔을때 
빌려준 사람이 매도 주문을 걸게되면 오늘 장중안으로 빌려간 주식을 상환해야하기때문에 상한가 매도를 걸어놓으라 하는겁니다 

상한가 가지 않으면 체결되지 않기에 오늘 장중에 체결이 안되면 상한가 매도 걸어놓은게 취소가 되죠. 
하지만공매는 오늘 무조건 갚아야 하지요. 
공매에게 빌려준 총알을 회수하여 공매 박살내기 위한 행동이니 매일 장 시작전에 상한가 매도 참여 바랍니다 

주가조작이라는 분이있는데 증권사들 틈만나면 허매수 허매도입니다. 근데 우리는 상한가에 매도만 걸어놓자는겁니다. 우리 주식 가져가고싶으면 상한가 만들어놓고 가져가면 됩니다. 

주식대차 신청안했어도 리테일 대차풀 이라 해서 
증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주주들 동의 없이도 당일동안 대차를 할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증권 신한증권 키움 등등 큰 증권사들은 이 제도를 운영하구 있구요. 

주주 몰래 하루동안 대차하고 다시 상환한다면 티가 나지 않기때문에 이걸 악용하는거죠. 

공매도에 시달리지 않기위한 방어책입니다. 

※참고로 HTS나 폰으로 하시는분들 

대여주식 서비스 해제하십시요. 그거 신청되어있으면 주식대차로 공매도합니다. 꼭 서비스 해제하십시요. 
클릭 몇번이면 됩니다. 

ex) 영웅문(키움-핸드폰) 
왼쪽맨하단 [주식]메뉴->밑으로 내리다보면 [주식대여]->[서비스해지] 입니다. 
우리도 뭉칩시다!!

반응형
반응형



펀드슈퍼마켓을 이용해 주시는 고객 여러분께 항상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당사 전산시스템 점검 작업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단일시
· [1차] 2018.08.04 (토) 10:00 ~ 18:00 (8시간)
· [2차] 2018.08.11 (토) 08:00 ~ 12:00 (4시간)

■ 중단사유 : 전산시스템 점검 및 업그레이드 작업

■ 중단업무 : 홈페이지, 모바일, ARS, 펀드바로개설 등 당사 모든 금융거래 서비스

기타 자세한 문의사항은 당사 고객지원센터(1644-174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더 나은 금융서비스로 다가가는 펀드슈퍼마켓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2018년 7월 27일 (금)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 뉴욕증시, 7/26(현지시간) 美/EU간 무역 합의에도 페이스북 폭락 등으로 혼조 마감… 다우 +112.97(+0.44%) 25,527.07, 나스닥 -80.05(-1.01%) 7,852.19, S&P500 2,837.44(-0.30%), 필라델피아반도체 1,378.42(+1.87%)

● 국제유가($,배럴), 무역분쟁 완화 및 중동 지정학적 우려 등으로 상승 … WTI +0.31(+0.45%) 69.61, 브렌트유 +0.61(+0.83%) 74.54

● 국제금($,온스), 낮아진 무역 긴장감에 하락... Gold -6.10(-0.49%) 1,225.70

● 달러 index, ECB 금리동결 등으로 상승... +0.53(+0.57%) 94.76

● 역외환율(원/달러), +4.58(+0.41%) 1124.67

● 유럽증시, 영국(+0.06%), 독일(+1.83%), 프랑스(+1.00%)

● 코스닥 공매도 '과열'... 개미들만 속탄다

● 勞 "경영참여 왜 빼나"... 스튜어드십코드 불발, 국민연금 기금위 30일 재논의

● 프리미엄 TV 잘나가니 LG전자 영업익 16% 쑥

● SK하이닉스 2분기 매출 10조3000억, 영업익 5조6000억... 창사 최대수준

● 현대차 2분기 영업익 9508억원... 3분기 연속 1조원 못넘어

● 조선株, 美·EU 무역전쟁 휴전에 급등... LNG선 발주 확대 기대

● 액면가 100원 된 네이버... 승부수 통할까, 5분의1로 액면분할 공시

● 에쓰오일 영업익 4026억... 작년보다 3배 늘어

● 美 나스닥 따라가는 대만 증시 주목할때... 올해 하락한 韓·中 증시와 달리 3.4% 상승, TSMC 등 IT株 담은 '대만 ETF' 관심

● 삼성증권 신규영업 6개월 정지... 금융위, 중징계 확정

● 유한양행, 퇴행성디스크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

● "언제든 환매 가능하고 세금 걱정도 없어"... 구조화 ETN에 꽂힌 '중위험 중수익' 투자자들

● SK證 새주인에 J&W 파트너스... 금융위 대주주 적격성 심사 통과

● '키움캐피탈' 10월 설립... 기업금융 키운다

● 세포치료제 전문 바이오솔루션, 세번째 도전 끝에 코스닥 입성... 내달 9~10일 청약 공모

● 재무적 투자자 등 6곳 예비입찰 참여... 전진重 인수전 '후끈'

● 상반기 사상최대 실적에도... GS건설 주가 급락한 까닭

● 야놀자, 싱가포르 숙박앱 168억에 인수... 해외사업 확대 교두보 확보

● 대형 사모펀드 KKR, 인천 물류센터 짓는다

● 포스코, 외화채권 7년만에 발행... 5억弗 모집에 28억弗 몰려

● 대기업계열 금융그룹 통합감독 시뮬레이션 해봤더니... 적정자본 비율 '턱걸이' 수두룩, 계열사 출자·M&A 길 사실상 막혀

● '환율전쟁'으로 옮겨가는 미중 무역분쟁, 승자는 누구?

● 현대百, 대백아울렛 10년간 운영... 동대구점 장기임차계약

● CJ제일제당 김 사업 확 키운다... '명가김' 삼해상사 지분 인수

● 싱가포르 친환경 택시시장 공략... 현대차, 아이오닉 1200대 공급

● BMW '주행중 엔진 화재', 10만6000여대 사상최대 리콜

● 삼성전자, 세계 첫 2세대 모바일D램 양산

● 美 '국방부 테스트' 통과... 안 깨지는 스마트폰 패널... 삼성디스플레이, 美 인증 받아

● 요즘 포스코대우에선... 임원 76명 월급날마다 자사주 매입

● LG전자, 상반기 매출 30兆 돌파... 프리미엄 가전·TV '쌍끌이 질주'

● 퀄컴·애플 완전히 결별하나... 차기 아이폰 인텔칩만 쓴다

● 네이버 "콘텐츠 앞세워 해외서 '제 2라인' 신화 쓸 것"

● LG이노텍, 美업체에 UV기술 특허訴

● GM코리아 사명 변경... '캐딜락 코리아' 새 출발

● 자녀장려금 최대 50만→70만원... 정규직 전환때 中企에 稅공제

● "MB정부 무리한 개발로 3개 공기업 16조 손실"... 해외자원개발 혁신 TF

● 기업은행도 상반기 '어닝 서프라이즈'

● 농협금융 '실적 축포'... 김광수 "신성장동력 확충"

● "카뱅, 2020년 IPO통해 자본 확충할 것"... 출범 1주년 간담회

● "금감원 결정 수용 못해... 즉시연금 약관 문제 있는지 법원 판단 받겠다"... 삼성생명, 즉시연금 일괄지급 요구 사실상 거부

● 김동연 부총리, 내달 초 삼성 방문... 애로사항 등 직접 청취, 이재용 부회장 만날지 관심

● 2분기 0%대... 성장이 멈췄다, 투자 급랭... 소비·수출 둔화

● 0%대 그친 2분기 성장률... 추락, 최저, 악화, 반토막...경제에 '희망'이 안보인다

● "정부 목표 '2.9% 성장' 매우 불확실"... 경고 쏟아내는 전문가들

● 원·달러 환율 급등세 꺾였나... 이틀째 큰 폭으로 떨어져 1110원대로 내려앉아

● SK하이닉스 '15조 투자' 반도체공장건설 곧 발표... 이천공장 규제 제거에 호응

● 文 "송영무 잘잘못 따져 책임 물을 것", 계엄령 문건 철저 규명 지시

● 에어컨 하루 10시간 틀면, 전기료 月12만원 더 낸다

● 농식품부 장관 후보에 이개호 민주당 의원

● 뚱뚱해지는 한국... 정부 '다이어트 바우처' 준다... 국가 첫 비만관리 종합대책

● 비상걸린 경제... 청와대에 親대기업 기류... "투자 막는 규제 패키지로 풀겠다"

● IMF "한국 최저임금 인상 너무 빠르다"

● SK하이닉스, 사상 최대 실적... "하반기도 서버용 D램이 수요 견인... 반도체 호황 아직 안 끝나"

● 증시에선 여전히 비관론 우세... "고정거래價 상승세도 꺾일것"... D램 현물가 하락 영향 논란

● 커지는 비서관 파워... 靑직할체제 강화에 정부부처 더 위축될라, 文정부 2기 靑조직개편

● 文, 광화문서 깜짝 '호프타임'... 시민 "최저임금 속도조절을"... 文 "자영업자 문제 무겁게 생각하고 있어"

● "트럼프 첫 임기 내 北 CVID 목표... 협상 헛되이 질질 끌지 않겠다" 폼페이오 美 국무, 상원 외교위 청문회 출석

● "北, 오늘 미군 유해 송환한다"... 원산에서 유해 가져올 美 수송기 오산기지에 대기

● 이변은 없었다... 민주 당권, 김진표·송영길·이해찬 '3파전'

● 국방부, 소강원·기우진 직무배제

● 트럼프, EU와 전격 휴전... 유럽車 관세 일단 보류

● 美, EU 껴안고 VS 中, 브릭스에 러브콜... 무역전쟁 판 바뀐다

● 美 공세 피하려고 동맹 강조하는 日... 車 관세대상서 제외 요청키로

● G2 무역전쟁 역풍... 美 자동차기업 '빅3' 직격탄

● 中 몽니에... 퀄컴, NXP 인수 끝내 무산

● 파키스탄 총선 야당 승리... 反美정권 들어선다

● 페북 주가 24% '뚝'... 저커버그 19조원 날려, 호실적 불구 미래전망 불투명, 장외거래서 주가 곤두박질

● 美 제재로 이란 통화 사상 최저 추락

● 트럼프, 여론의식 푸틴과 거리두기... 2차 미·러 정상회담 연기

● 주중 美대사관 인근 폭발사고 20대 체포

● 부산·세종에 규제 없는 스마트시티 들어선다... '스마트도시법' 국회 본회의 통과

● 상암 DMC의 두배... 마곡 1조원 랜드마크 개발 본궤도

● 똘똘한 한채... 서울 집값은 날고 지방은 추락

● "여의도 마스터플랜은 서울시장의 고유권한... 발표 늦어지지 않을 것" 초안 보고... 이르면 내달 공개

● 천호3구역 재건축 사업시행 인가

● SH '1조 규모' 마곡지구 땅 매각

● 판교알파돔 리츠 공모주 청약, 오늘까지 진행 예정

● 2018 건설사 시공능력 평가... 삼성물산, 5년째 1위... 반도건설 15계단 '껑충' 12위 올라

● [오늘의 날씨] '중복' 찜통더위 지속... 오후부터 소나기

반응형
반응형

7.26(목) 19:35~20:45 

7.29(일) 21:40~22:45 

7.30(월) 22:45~23:50 

본격적으로 홈쇼핑 방송하는가 봅니다... 최소 1박스라도 주문 합시다.. 주위분한테 광고 기본입니다 

역시 중장기로 가면 대박 입니다.. 


http://display.cjmall.com/p/tv/tvSchedule?broadType=live&pic=TVSH_tvtb&rPIC=Tvshopping#keyword%3A%EB%B0%B1%EC%88%98%EC%98%A4


출처: 네이버종토방

반응형
반응형

네이처셀이 대표이사 구속 관련하여 공시를 냈네요. 라정찬 대표이사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현재 구속되어 수사중에 있고, 본 건 혐의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확정된 사실은 없다고 합니다. 이 영향으로 네이처셀은 현재 하한가로 주가는 10,650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 거래량, 매물대(=지지선=저항선=자석=주가가 매물대 붙어 있으려는 속성, 마디가격을 찾는 이유는 상향돌파점과 하향지지점을 찾기위함)


● 매물대 상향돌파시 그매물대는 지지선이되고, 매물대 하향이탈시 그매물대는 저항선이 된다.


● 77500/74300/73500/72600/70200/68500
이렇게 외울정도로 마디가격은 기억하는 이유는 결국 상승이나 하락시 마디가격 근처에서 종가형성확률이 높음


● 주식책에서는 거래량에 대한 설명도 별로 없으니 각종 보조지표나 이평선에 대한 설명만 장황


● 주식의 전부가 거래량인데 특히 거래량이 작으면 마디가격에 붙는게 진리이고, 거래량이 많으면 마디가격을 상향돌파하는게 정석임


● 얼마전 (배럴)처럼 일거래량의 두배이상 터지면서 -10퍼 정도의 장대음봉 떨어지면 목숨걸고 도망나와야됨. 《다음날 전일거래량을 넘지못하는 가짜 장대양봉》후 급락하면서 끝장나버림


● 아래는 책이나 인터넷에 있는 거래량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인데 이것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방법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쉽지가 않음


● 거래량에 대하여 책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는 이유는 자칫 잘못하면 소설되어 버릴수도 있음


● 그래서 나스스로도 《후루꾸주식》이라 말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가: 투자시장에서 종목의 가격 흐름을 나타낸 것

거래량: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종목을 얼마나 사고팔았느냐를 알려주는 지표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을 겨룬 결과



거래 분석: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을 분석하는 것


거래량이 추세와 반대로 움직인다면 주가의 추세가 꺾이고 있음을 암시!


주가 예측 방법



ㅁ 주가 상승시기에는 거래량이 늘어난다!

주가가 상승하면 이익실현 욕구의 매도물량과 추가 상승을 기대하는 신규 매수세가 있기 때문

거래량이 큰 종목을 노리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 때문

ㅁ 주가가 매물대를 상향 돌파할 때 주가의 추가상승을 예고! 매물대는 새로운 지지선으로 작용

주가가 매물대를 하향 돌파하는 경우에는 주가의 추가적 하락이 예상 매물대는 저항선으로 작용

매물대: 일정 가격대에 거래가 집중됨으로써 주가가 구간을 돌파하는 데 부담이 될 수 있는 구간

주가가 매물대를 만나게 되면, 이익실현 물량과, 손절매 물량이 출회돼 주가 상승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

매물부담벽이라고도 불림

ㅁ 주가가 장기간 횡보 중에 거래량이 급증하면 대세상승 추세로 전환될 수 있음을 예고!

횡보: 매수와 매도세가 경합을 벌이고, 거래량이 위축되는 시기

거래량이 갑자기 증가한다는 것은 매수세력이 개입했다는 것을 암시

곧 대세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

대기 매물에 밀려 잠시 쉬었다가 매수세력의 매집이 끝난 뒤, 대세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

ㅁ 대량거래량과 함께 거래량이 급증할 때는 큰손이 보유물량을 팔고 나가는 경우가 많다!

주가도 붕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매도의 관점으로 보기!

ㅁ 큰손이 거래할 때는 매매단위가 크고, 일반 투자자가 거래할 때는 거래단위가 작다!

장중에 거래되는 단위를 살펴보고 큰손의 개입 여부를 판단

ㅁ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은 매집물량, 하락한 날의 거래량은 분산 물량

양봉과 거래량 증가는 매집물량

음봉과 거래량 증가는 분산 물량

* 매집: 세력이 주식을 사모아 추가상승예고, 분산: 세력의 이탈로 주가 하락예고

https://m.stock.naver.com/item/main.nhn#/stocks/018250/discuss/87691582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