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연]

친구 A는 제가 하지도 않은 “죽여버리겠다”는 말을 지어내어, 저와 친하던 친구 B에게 전달했습니다. 이로 인해 B와 저는 한동안 어색한 관계를 유지하다가 겨우 화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A는 약속과 달리 또 다른 친구 C에게 C의 컴플렉스를 언급하며 이간질을 시도했습니다. 이로 인해 C는 반에서 뒷담화를 한 사람으로 소문이 났습니다. A는 의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저는 A의 행동 때문에 학교생활이 너무 힘듭니다.

현재 A가 직접 자신이 이간질을 했다는 것을 인정한 DM 캡처본과, 소문이 퍼진 반 친구들의 증언이 있습니다. 이런 증거들이 학교폭력 신고에 충분할지 고민입니다.

[답변]

현재 상황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어려움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A의 행동이 학교폭력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학교와 관련 기관의 조사와 판단이 필요하지만, 상황을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다음 단계를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학교폭력의 정의

• 학교폭력은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언어적, 심리적 폭력도 포함됩니다. 특히 고의적으로 다른 학생 간의 관계를 이간질하거나, 소문을 퍼뜨려 피해를 주는 행위도 학교폭력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2. 증거 수집

• 이미 언급한 DM 캡처본과 소문을 듣고 영향을 받은 반 친구들의 증언은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는 A의 행동이 고의적이었음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A의 행동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지, 또 다른 학생들에게도 유사한 행동을 했는지 등의 증거를 모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상담 및 신고

• 우선, 학교 내에 학생 상담 교사나 담임 선생님에게 이 상황을 알리고 상담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담 교사는 문제를 중재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필요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 사건을 보고할 수 있습니다.
• 상황이 심각하거나 학교 내에서 해결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교육청의 학교폭력 신고센터나 경찰서에 직접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4. 대처 방법

• 신고를 하기로 결정한 경우, 최대한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고 객관적인 사실과 증거를 바탕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황을 선생님이나 부모님과 함께 논의하며,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지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교폭력은 심각한 문제이며,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주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주변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